티스토리 뷰

정부에서 청년들의 안정적인 중장기 자산 축적의 기회 제공 및 공정한 도약의 기회를 보장하고자 청년도약계좌 상품 6월 출시를 발표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청년도약적금, 청년내일채움공제 상품 히트와 함께 6월에 청년들이 많이 가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금리, 가입대상, 향후 계획 알아보기

 

만 19세~34세 청년 대상으로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가구소득 중위 180%이상인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리는 23년 6월 시행인 만큼 아직 미정이고, 정부기여금과 은행이자를 합쳐서 지원예정입니다.
70만 원 기준으로 5년간 원금이 4,200만 원이고 이후 정부의 기여금과 은행금리를 합치면 약 5,000만 원의 목돈 만들기 프로젝트라 할 수 있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 바로가기


1) 청년도약계좌 한도

매월 70만원 한도 내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상품이고, 만기는 5년입니다. 기여금 한도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정부기여금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 청년(만 19~34세) 중 개인소득 기준에 따라 가입이 결정됩니다. 

  • 총 급여기준 6,000만원 이하는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적용
  • 총 급여기준 6,000~7,500만원 이하는 비과세만 적용(정부 기여금 없음)
  • 그리고 가구소득 기준(중위 180%)을 충족하는 경우 가입 가능

단, 직전 3년 중 한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이 연간 2,000만 원 초과하는 경우 대상자에 속합니다.

 

2) 청년도약계좌 금리구조

청년도약계좌 금리구조 :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 적용 예정. (총 5년)
2년간 변동금리는 해당시점의 기준금리에 앞선 3년간 고정금리 기간 적용된 가산금리를 더한 금리가 적용됩니다.

 

금리 부분은 아직 미정인만큼, 차후에 업데이트가 됐을시에 다시 한번 다루겠습니다.

 

3)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및 기타사항

23년 6월부터 가입신청을 받아 상품 취급 기관의 앱으로 비대면 심사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개인소득에 따라 정부 기여금이 달라지는 만큼, 비대면 심사 때 소득심사까지 같이 진행합니다.

 

또한 저소득층 혜택을 강화하기 위해 청년지원상품과 동시가입을 허용해서 빠른 자산축적을 도와준다고 하니, 해당되는 개인의 경우 지속적인 상품 혜택 체크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청년지원상품 : 청년내일계좌,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

대표적인 궁금한 점으로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한 개인도 만기 후에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허용됩니다. 바로 중복가입은 안되지만, 만기 시에는 가능한 만큼 바로 넘어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향후에는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출시 예정이라고 하니 지속적으로 청년 지원 프로젝트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